수도권 vs 비수도권 기준 지역 구분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당연히 모르는 사람이 있어?” 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구분 기준에 대해 쉽고 자세하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부동산, 정책, 통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지만, 어디까지가 수도권이고 어디부터가 비수도권인지 정확히 아는 분들은 많지 않으시죠? 지금부터 하나씩 알아볼게요
한국에서 ‘수도권’은 법적으로도 명확하게 정해져 있는데요, 바로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아래 3곳이 수도권에 해당합니다.
위 서울, 경기, 인천 3개 지역을 합쳐서 수도권이라고 부릅니다.
즉, 서울·경기·인천만이 수도권에 포함되고, 그 외의 모든 지역은 수도권이 아닙니다.
비수도권은 말 그대로 수도권에 해당하지 않는 모든 지역을 뜻해요. 즉,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외의 나머지 전국 모든 시·도(강원, 충청, 전라, 경상, 제주 등)가 비수도권입니다.
이렇게 수도권을 제외한 모든 시·도는 비수도권으로 분류됩니다.
이렇게 구분하는 이유는 주로 인구 집중, 교통, 경제,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차이가 크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행정구역상 어디에 속하는지가 중요하지, 거리나 생활권만으로 구분하지 않는 점 꼭 기억하세요.
종합부동산세 공시가율 80% 인상 시 달라지는 세금 계산법 🏠 종합부동산세 공시가율 80% 인상 시 변화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대상, 금액, 신청방법 사용처 대선때 공략했던 민생지원금이 7월 신청을 통해 지급됩니다. 고금리, 고물가로…
개인사업자 자동차 구매vs장기렌트vs리스 절세 장단점 자영업자, 소상공인, 개인사업자로 사업자를 내고 창업이나 매장을 운영하다보면 업무용 차량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