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소버린 AI 전략 국가대표 AI 선정 TOP 5 선정과 탈락 기업 분석
2025년 8월 4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5개 정예팀이 선정되었습니다.
카카오는 선정되고, NC는 탈락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카카오는 탈락하고 NC는 선정되었는데 관련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글로벌 AI 기술 패권 경쟁이 격화되면서, 미국과 중국, 유럽 등 주요국은 자국 중심의 ‘소버린 AI(Sovereign AI, 주권형 AI)’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는 특정 글로벌 기업에 의존하지 않고, 자국 언어, 문화, 법규, 산업에 특화된 독자적 AI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한국 정부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를 중심으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을 추진하며, 총 2,000억 원 규모의 국가 주도형 프로젝트를 출범시켰다. 2025년 8월, 본 사업의 1차 결과로 10개 후보 중 5개 컨소시엄이 ‘국가대표 AI’ 톱5로 선정됐다.
정부는 다음 기준에 따라 우선협상 대상 5개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업체 (주관사) | 주요 파트너 및 전략 | 선정 이유 |
---|---|---|
네이버클라우드 | 서울대, KAIST, 트웰브랩스 등 | 옴니모달 기반 독자 모델 + 국민 대상 AI 서비스화 비전 |
업스테이지 | 노타, 플리토, 래블업 등 | 스타트업 리딩 기반의 프롬스크래치 모델 개발 및 산업 맞춤형 모델 전략 |
SK텔레콤 | 크래프톤, 리벨리온, 서울대 등 | Post-Transformer 기반 자체 구조 설계 및 산업별 AI 적용 구체화 |
NC AI | ETRI, 고려대, 포스코DX, MBC 등 | 14년 자체 AI 연구 성과 + 200B 규모 멀티모달 모델 비전 제시 |
LG AI연구원 | LG CNS, 뤼튼, 한컴, 슈퍼브AI 등 | 엑사원 4.0 기반 풀스택 생태계 및 K-엑사원 글로벌 경쟁 전략 |
1차 서면 심사를 통과했지만 최종 톱5에서 제외된 5개 팀은 다음과 같다. 이들에 대한 탈락 사유는 다음과 같이 분석된다.
이번 ‘국가대표 AI’ 톱5 선정은 단순한 기술경쟁이 아니라, 국가의 AI 주권을 둘러싼 전략적 투자의 일환이다. 탈락한 기업들에겐 기술 고도화와 독립적 전략 정비의 필요성이 명확히 드러났고, 선정된 컨소시엄들은 이제 실질적인 성과를 증명해야 하는 단계에 진입했다.
이제는 기술을 넘어, 어떤 철학으로 AI를 설계할 것인가, 어떤 산업과 국민에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국가 주도 소버린 AI는 어쩌면, 수익성 보다는 공익성을 더 추구할지도 모릅니다. 따라서, 이번 “국가대표 AI”에 선정된게 독이될지? 탈락한게 득이될지? 개별 선정된 업체들의 주가 흐름으로 시장은 평가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소버린AI #국가대표AI #파운데이션모델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ai #LGai연구원 #카카오소버린AI탈락 #코난테크놀로지소버린AI탈락
25년 서울·수도권·지방 주민세 납부시기 금액 정리 네이버 알림이나 카카오페이 알림을 해뒀다면 알림으로 주민세 납부 고지서가…
2025년 6월, 서클(Circle Internet Group, NYSE: CRCL)은 IPO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상장되었습니다. 이어서 8월 12일 오전…
2025년 운전면허증 적성검사 대상 갱신 서류, 과태료 정리 2025년 운전면허 적성검사 기간이거나 갱신이라면 연말이 다가오기…
트럼프 푸틴 8월15일 알래스카 회담, 전쟁 휴전 ‘빅딜’ 가능성은? 끊이 없을 것 같았던 러시아와 우크라니아…
달바글로벌, 2분기 실적 발표 후 주가 급락 영업이익 기대치 이하 시간외 애프터마켓 급락 이유 달바글로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