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그리드 산단이란? 산업단지 맞춤형 분산전력의 정의와 의미

마이크로그리드 산단이란? 산업단지 맞춤형 분산전력의 정의와 의미

마이크로그리드 산단이란? 산업단지 맞춤형 분산전력의 정의와 의미

25년 7월 31일 대통령실에서 “전남에 마이크로그리드 산단 조성…2000억 예산 투입”이라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31일 브리핑에서 “재생에너지 잠재량이 풍부한데다 전력망이 시급한 전남권을 차세대 전력망 혁신기지로 만들어 가겠다”며 이같이 밝혔는데 마이크로그리드 산단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 정의 및 개념

  • 마이크로그리드 산단은 산업단지 내에서 소규모 전력망(Microgrid)을 구성해 전력을 자체 생산·저장·소비하는 체계입니다.
  • 산업단지 내 공장이나 캠퍼스 단위로 분산에너지(DER)와 ESS, 제어시스템(EMS) 등을 통합 운영합니다.
  • 일반 마이크로그리드보다 산업단지 맞춤형인 특화형이며, DC망을 통한 공장 간 전력거래 모델도 연구되어 왔습니다.

✅ 주요 특징

  • 독립형(Off‑grid) 또는 계통연계형(On‑grid) 운영이 가능하며, 필요 시 중앙 전력망과 분리된 ‘아일랜드 모드’로도 작동합니다.
  • ESS를 통한 전력 저장과 AI·ICT 기반 EMS 적용으로 전력 품질 및 수요 대응 기능을 강화합니다.
  • DC전력망 기반 공장 간 직접 전력거래를 통해 송전 손실 최소화 및 비용 효율화를 추구합니다 .

✅ 도입 효과

  • ㅇㅇ에너지 자립과 복원력 강화: 주요 전력망 장애 시에도 자체 전력 생산·공급 가능으로 안정성 확보
  • 비용 절감과 효율화: 송전 손실 감소, 수요 대응, 발전예측을 통한 운영비 절감.
  • 친환경 및 지역 맞춤형 운영: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탄소배출 저감 및 지역 맞춤형 전력혁신 추진

✅ 한국에서의 정책 및 실종

  • 전남권 시범사업: 대통령실은 2025년 7월 31일 발표를 통해 전남대 캠퍼스·스마트팜·산업단지·군부대 등에 마이크로그리드 산단 조성 계획을 밝혔고, 약 2,000억 원 예산이 5~6개 사업에 투입 예정임을 알렸습니다
  • 산업부도 지역 특성 반영한 차세대 전력망 구축 계획을 발표하며 활성화를 추진 중입니다
  • 한전은 산업단지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사업을 여러 곳에서 수주하며 상용화 추진 중입니다 (여수·대구 등)

✅ 함께 보면 좋을 글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