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vs 비수도권 기준 지역 구분 정리

수도권 vs 비수도권 기준 지역 구분 정리

수도권 vs 비수도권 기준 지역 구분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당연히 모르는 사람이 있어?” 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구분 기준에 대해 쉽고 자세하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부동산, 정책, 통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지만, 어디까지가 수도권이고 어디부터가 비수도권인지 정확히 아는 분들은 많지 않으시죠? 지금부터 하나씩 알아볼게요

✅ 수도권 vs 비수도권 기준 행정구역 구분법

수도권의 정의와 범위

한국에서 ‘수도권’은 법적으로도 명확하게 정해져 있는데요, 바로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아래 3곳이 수도권에 해당합니다.

  • 서울특별시
  • 경기도
  • 인천광역시

위 서울, 경기, 인천 3개 지역을 합쳐서 수도권이라고 부릅니다.

즉, 서울·경기·인천만이 수도권에 포함되고, 그 외의 모든 지역은 수도권이 아닙니다.

비수도권의 의미와 범위

비수도권은 말 그대로 수도권에 해당하지 않는 모든 지역을 뜻해요. 즉,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외의 나머지 전국 모든 시·도(강원, 충청, 전라, 경상, 제주 등)가 비수도권입니다.

  • 강원특별자치도
  • 충청북도, 충청남도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 전라북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 경상북도, 경상남도,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 제주특별자치도

이렇게 수도권을 제외한 모든 시·도는 비수도권으로 분류됩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왜 이렇게 나눌까요?

이렇게 구분하는 이유는 주로 인구 집중, 교통, 경제,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차이가 크기 때문입니다.

  • 인구 집중 : 전체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수도권에 몰려 있다.
  • 정책 적용 : 부동산 대출, 청약, 교육, 교통 등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다르게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 생활권 차이 : 수도권은 서울 중심의 생활권, 비수도권은 각 지역 거점 도시 중심의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헷갈릴 수 있는 예시

  • 인천광역시 : 서울과 떨어져 있지만 수도권에 포함
  • 세종특별자치시 : 행정수도 역할을 하지만 비수도권
  • 경기도 남부 : 서울과 멀어도 수도권

이렇게 행정구역상 어디에 속하는지가 중요하지, 거리나 생활권만으로 구분하지 않는 점 꼭 기억하세요.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