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지역 89곳 지역은? [25.9월 기준]

2025년 9월 기준 ‘인구감소지역’으로 분류되는 89개 지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인구감소지역-89개-지역정리

지방 중심 건설투자 보강방안에서 인구감소지역에서 세부담을 완화한다고 발표했다. 1주택자가 추가 주택 구입 시 주택에 대해 1세대 1주택 특례를 부여하는 ‘세컨드 홈 세제지원’ 대상지역을 인구감소지역에서 인구감소관심지역으로 확대한다고 했는데 인구감소지역이 어디인지 정리해두었습니다.

인구감소지역 89곳 지정 개요

인구감소지역 선정의 법전 근거와 지정 주기, 지정 대상, 지표 등은 아래와 같다

  • 법적 근거:
    •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 제2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에 근거하여 지정됨. 
  • 지정 주기:
    • 5년 단위. 최초 지정은 2021년 10월. 
  • 지정 대상:
    • 시·군·구 89곳. 이 중 일부는 ‘관심지역(18 곳)’으로 구분됨. 
  • 지표:
    • 인구감소 지속성, 인구밀도 변화, 청년 순이동률, 주간 인구, 고령화 비율, 유소년 비율, 조출생률, 재정자립도 등 8가지 지표로 평가됨. 

인구감소지역 89개 지역 리스트

아래는 시도별로 분류한 89개 인구감소지역입니다. 포스팅 시에는 표나 지도 시각화와 함께 넣으면 이해하기 좋습니다.

광역시/도해당 시군구 (인구감소지역)
부산동구, 서구, 영도구 (행정안전부)
대구남구, 서구, 군위군 (행정안전부)
인천강화군, 옹진군 (행정안전부)
경기가평군, 연천군 (행정안전부)
강원고성군, 삼척시,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 철원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 (행정안전부)
충북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제천시 (행정안전부)
충남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보령시, 부여군, 서천군,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 (행정안전부)
전북고창군, 김제시, 남원시,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정읍시, 진안군 (행정안전부)
전남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국,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 (행정안전부)
경북고령군, 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행정안전부)
경남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밀양시,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행정안전부)

👉 인구감소 관심지역 18개 지역은?

📌 함께 보면 좋은 글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