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기준 ‘인구감소지역’으로 분류되는 89개 지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방 중심 건설투자 보강방안에서 인구감소지역에서 세부담을 완화한다고 발표했다. 1주택자가 추가 주택 구입 시 주택에 대해 1세대 1주택 특례를 부여하는 ‘세컨드 홈 세제지원’ 대상지역을 인구감소지역에서 인구감소관심지역으로 확대한다고 했는데 인구감소지역이 어디인지 정리해두었습니다.
인구감소지역 89곳 지정 개요
인구감소지역 선정의 법전 근거와 지정 주기, 지정 대상, 지표 등은 아래와 같다
- 법적 근거:
-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 제2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에 근거하여 지정됨.
- 지정 주기:
- 5년 단위. 최초 지정은 2021년 10월.
- 지정 대상:
- 시·군·구 89곳. 이 중 일부는 ‘관심지역(18 곳)’으로 구분됨.
- 지표:
- 인구감소 지속성, 인구밀도 변화, 청년 순이동률, 주간 인구, 고령화 비율, 유소년 비율, 조출생률, 재정자립도 등 8가지 지표로 평가됨.
인구감소지역 89개 지역 리스트
아래는 시도별로 분류한 89개 인구감소지역입니다. 포스팅 시에는 표나 지도 시각화와 함께 넣으면 이해하기 좋습니다.
광역시/도 | 해당 시군구 (인구감소지역) |
---|---|
부산 | 동구, 서구, 영도구 (행정안전부) |
대구 | 남구, 서구, 군위군 (행정안전부) |
인천 | 강화군, 옹진군 (행정안전부) |
경기 | 가평군, 연천군 (행정안전부) |
강원 | 고성군, 삼척시,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 철원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 (행정안전부) |
충북 | 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제천시 (행정안전부) |
충남 | 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보령시, 부여군, 서천군,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 (행정안전부) |
전북 | 고창군, 김제시, 남원시,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정읍시, 진안군 (행정안전부) |
전남 | 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국,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 (행정안전부) |
경북 | 고령군, 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행정안전부) |
경남 |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밀양시,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행정안전부) |
📌 함께 보면 좋은 글
- 2026년 부동산 전망 수도권 vs 비수도권
- 지방 부동산 회생을 위한 정부의 ‘건설투자 보강방안’ 분석 ” 기회vs한계”
- 대주주 양도세 50억 vs 10억 의미와 논란 이유
- 배당소득 분리과세 왜 중요할까?
- 전세사기 예방 집구하기 체크리스트[더체크넷]
- 전세사기 예방 세입자 특약 문구 리스트[임대차계약서]
- 역전세 뜻과 의미, 비아파트 전세대출 심사강화 전세금 반환 위기 트리거되나?
- 창업정보 I 전국 커피 음료점 수는? 메가, 컴포즈, 스타벅스
-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서울·제주·부산 전국 보조금 비교\
- 수도권•규제지역 정책대출 축소 LTV 규제 강화 (6.28 시행)
- 수도권과 비수도권 구분, 왜 중요할까?
- 수도권 vs 비수도권 기준 지역 구분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