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시 마감: 코스피·코스닥 하락 요인 분석 – 2025년 9월 24일(수)

📌 오늘(25.9.24, 목) 한국 증시 마감 한 줄 요약
코스피는 외국인 매도 전환에 하락 마감하며 3거래일 만에 눌림세로 돌아섰고
코스닥도 1%대 하락. 원·달러 환율은 한 달 만에 최고치에 근접.
1. 코스피, 코스닥 지수 흐름
- 코스피는 전일 대비 –14.05포인트(–0.40%), 3,472.14로 마감
- 3거래일 만에 하락세로 전환
→ 장중에는 사상 최고치 돌파 시도 후 외국인 매도세로 하락 반전된 흐름 - 코스닥은 –11.27포인트(–1.29%), 860.94로 하락 마감
→ 외국인·기관의 동반 매도세가 이어지며 지수 눌림폭 확대
→ 시총 상위 10개 중 HLB 제외 모두 하락 - 환율 8월 21일(1398.4원) 이후 약 한달만에 최고치
2. 수급 흐름
-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이 매도로 돌아서며 지수 하락 주도
→ 외국인 순매도 규모는 약 2,400억 ~ 2,500억 원대 수준으로 보도됨
→ 기관은 매수로 대응했지만 외국인 매도 압력 상쇄에는 부족했던 모습 - 코스닥에서도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 개인이 일부 대응 매수
→ 개인은 시세 방어 또는 저가 매수로 대응한 흐름 관측됨
3. 대표 종목 흐름
- 삼성전자는 소폭 상승 마감
- 장중 약세 흐름 후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플러스 전환한 것으로 보임

- SK하이닉스는 하락 마감
- 반도체 업종에 대한 차익 실현 압력과 변동성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임

-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 대부분 약세
- HLB를 제외한 주요 상위주는 대부분 하락세
- 특히 반도체·바이오·2차전지 테마주 등 변동성 확대 종목군 중심 약세
4. 환율 & 외환 시장
- 원·달러 환율은 1,397.5원 수준으로 마감
→ 전일 대비 약 +4.9원 상승
→ 이는 지난달 21일(1,398.4원) 이후 거의 한 달 만에 최고 수준 재접근한 흐름 - 환율 상승은 외국인 자금 유출 압력과 복합적으로 연계된 요인
5. 외부 요인 & 시장 분위기

- 장중에는 신고가 돌파 시도도 있었지만, 고점 매도세 및 차익실현 흐름이 압력을 준 모습
- 특히 반도체 업종 중심의 변동성 확대 우려 감지
- 미국 증시 하락, 금리·통화정책 불확실성, 외국인 투자심리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
🔎 함께 보면 좋은 글
- 9.7 부동산 대책 공급확대 규제강화 정책 내용 정리
- 크라켄·로빈후드 USDG 글로벌달러네트워크에 합류한 이유
- 대주주 양도세 50억 vs 10억 의미와 논란 이유
- 25년 FOMC 9월 10월 12월 금리 발표일 한국시간
- 액추에이터 관련 로봇 테마주 TOP 10(로봇·자동화 수혜주)
- 테슬라가 끌어올린 삼성전자 주가 7만전자
- SMR(소형모듈원전) 수혜주 TOP10 I 테마주, 대장주
- 원전 해체 관련주 TOP17 I 테마주, 대장주, 수혜주
- 달바글로벌, 2분기 실적 발표, 매출 영업이익 시간외 주가 급락이유
- 삼성전자 2분기 3분기 실적발표 및 증권사 목표주가
- 써클 USDC vs 테더 USDT 차이점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