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부동산 전망 수도권 vs 비수도권

2026년 부동산 전망 수도권 vs 비수도권

2026년 부동산 전망 수도권 vs 비수도권

2025년의 부동산은 하반기 규제 주도의 흐름이었다고 볼 수 있고, 여전히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비대칭 현상이 지속되었던 한해로 보여진다.

이러한 수도권vs비수도권의 부동산 차별화 증상은 인구감소, 집에 대한 가치의 변화와 더불어 속도의 문제이지 방향은 여전히 지속될 것으로 보여지는데 그럼 2026년 부동산 전망은 어떨지 정리해봤다.

2026년 부동산 전망

2025년 상반기와 ’25년 하반기가 크게 다른 시장 분위기를 형성했듯이 ’26년의 부동산 시장은 더 격변할 것으로 예상된다.

1. 양극화 지속(수도권vs비수도권)

수도권 인구 집중, 비수도권의 인구 소멸로 일컬어지는 수도권 집중 현상은 일시적인 게 아니라 부동산 시장의 트렌드라고도 볼 수 있다.

즉, 비수도권 시장의 급력한 하락을 예상보다는 어차피 매수해야 한다면 수도권에 집중하는 게 더 현명한 선택지라는 뜻이기도 하다

2. 금리인하: 유동성 공급 가속화

2025년 9월 FOMC 금리 인하를 기점으로 상당한 규모의 유동성이 공급될 것으로 보이면서 특별한 트리거가 없다면 증시와 함께 부동산 시장의 상승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증시의 경우도 금리 인하가 증시에 호재인 이유는 수요와 공급의 논리가 적용되듯이 부동산의 경우도 수도권의 수요가 감소하지 않는 한 수도권 부동산은 수요와 공급의 논리에 맞춰 상승에 무게 즉 양극화가 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는 게 더 합리적일 것으로 보인다.

3. 규제 강화

2025년 하반기 주택 담보대출 규제, 전세 대출 규제, 정책대출 규제 등 금리 인하로 발생할 수 있는 유동성을 누르기 위한 수도권의 더 강한 규제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수도권 중심의 규제 강화로 인해서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각도가 큰 상승세보다는 완만한 상승세로 전환되고 비수도권(지방)은 급락한 지역부터 조금씩 완만한 곡선으로 일실적인 되돌림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4. 부동산 정책

최근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크게 딱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즉, 공급은 늘이고, 수요를 줄여 가격을 수도권 주택 가격 안정화와 지방(비수도권) 추가 하락을 제한 시키겠다는 의미다

또한 지방의 경우는 8월 14일 발표한 「지방중심 건설투자 보강방안」 에서 지방 주택 세제지원 확대, 세컨드 홈 특례 적용 지역 확대 등을 볼때 비수도권 주택의 추가 하락은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1. 수도권 주택 공급 증대
    • 수도권 5년간 총 135만 호, 연간 27만 호 신규 주택 공급
  2. 규제를 통한 수요 제한

5. 주택 공급과 함께 인프라 확충 추가 필요

수도권 주택 가격 상승을 제한하기 위해서 주택 공급과 함께 집이라는 개념을 소유, 자산의 개념을 넘어 ‘살아가는 곳, 즉 홈’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하고 있는 트렌드에 맞게 주택 수의 공급만큼 그 환경도 같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주택 공급이 지역의 소비가 발생하지 않고 베드타운으로 전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6. 비 아파트 지원 정책 필요

주택 가격 상승을 전체 주택의 가격 상승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아파트 가격 상승의 제한과 비 아파트 분류의 지원 정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안정적인 주거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주택 가격의 상승은

내가 살고 싶은 곳‘, ‘환경이 좋은 곳‘, ‘아이들을 키우기 좋은 교육 환경이 좋은 곳‘ 등 소비자의 니즈가 사라지지 않는 한 원하는 지역의 수요를 사라지게 할 수 없고 이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아파트 외 빌라, 원룸, 투룸, 오피스텔 등의 비 아파트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지원 정책도 병행되어야 한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