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서울·수도권·지방 주민세 납부시기 금액 정리

25년 서울·수도권·지방 주민세 납부시기 금액 정리

25년 서울·수도권·지방 주민세 납부시기 금액 정리

네이버 알림이나 카카오페이 알림을 해뒀다면 알림으로 주민세 납부 고지서가 안내되었을 겁니다. 납부 시기, 지역별 금액 등을 간단하게 정리해두었으니 참고 바랍니다.

🏠 2025년 주민세 — 납부 시기, 금액, 지역별 차이

📌 주민세란?

주민세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구성원으로서 납부하는 지방세입니다. 쉽게 말해 ‘지역 회비’ 같은 개념이죠.
주민세는 개인분, 사업소분, 종업원분 세 가지로 나눠집니다.

  1. 개인분
  • 7월 1일 기준, 해당 주소지에 거주하는 세대주나 개인에게 부과
  • 정액세로 부과되며 금액은 지자체 조례에 따라 다름
  1. 사업소분
  • 사업장을 보유한 개인·법인 사업자에게 부과
  • 기본세액 + 연면적 기준 추가 세액 부과
  1. 종업원분
  • 월평균 급여가 일정 기준(1억 8천만 원)을 초과하는 사업장 대상
  • 급여총액의 0.5% 수준
주민세 지방세 납두 대상 조회

📅 납부 시기

구분과세 기준일납부 시기비고
개인분7월 1일8월 16일 ~ 8월 31일 (서울은 9월 1일까지)고지서 자동 발송
사업소분7월 1일8월 1일 ~ 8월 31일신고·납부 필요
종업원분매월다음 달 10일까지매월 신고·납부

💰 주민세 금액 — 지역별 차이

개인분 주민세 금액은 지자체별로 다릅니다. 수도권과 지방의 차이도 꽤 크죠.

지역개인분 주민세 금액(2025)구성
서울특별시₩6,000주민세 4,800원 + 지방교육세 1,200원
부산광역시₩12,500지방교육세 포함
인천 부평구₩12,500지방교육세 포함
경기도 부천시₩12,500지방교육세 포함
경상남도 거제시₩10,000교육세 포함 여부 조례별 상이
양산시10,000원 이하조례에 따라 변동 가능

💡 주민세 납부 금액 정리:

  • 서울이 가장 저렴(₩6,000)
  • 수도권(서울 제외)과 광역시 대부분은 ₩12,500
  • 일부 지방 도시는 ₩10,000 또는 그 이하

⚠️ 연체 시 불이익

  1. 개인분: 기한 경과 시 가산금 3% 부과
  2. 사업소분: 무신고 20%, 과소신고 10%, 연체이자 발생
    (단, 일부 지역은 2026년 12월 31일까지 가산세 면제 예외 적용)

📎 주민세 납부 방법

  • 고지서 납부: 은행, 편의점, 인터넷 뱅킹 가능
  • 위택스/지방세입계좌: 온라인 간편 납부 지원
  • 자동이체: 다음 해부터 자동 납부 신청 가능
  • 페이 납부 :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으로 결제 가능

📝 주민세 요약 Summary

  • 주민세 = 지방자치단체 구성원 회비 개념
  • 납부 시기 = 개인분은 8월 중순~말, 사업소분은 8월 초~말
  • 금액 = 서울 6천원 / 수도권·광역시 1.25만원 / 일부 지방 1만원 이하
  • 연체 시 가산금 주의
  • 방법 = 위택스·은행·편의점·자동이체 가능

#주민세 #2025주민세 #지방세 #개인분주민세 #사업소분주민세 #종업원분주민세 #서울주민세 #부산주민세 #인천주민세 #경기도주민세 #지방세납부기한 #위택스

✅ 함께 보면 좋은 글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